반응형
부산시는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여 다양한 어르신 복지 정책을 운영 중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부산 시민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 혜택을 분야별로 정리했습니다. 해당 정보는 기초연금, 교통비, 건강검진, 복지관 프로그램 등으로 나뉘며, 모두 무료 또는 일부 자부담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 1. 기초연금 지원
- 대상: 만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 이하
- 2025년 기준 금액: 월 최대 334,000원 (단독 기준)
- 신청처: 주민등록지 동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누리집
- 문의: 129 보건복지상담센터
🚍 2. 부산시 교통비 감면
- 지하철: 만 65세 이상 무료 탑승 (교통카드 연동 필요)
- 시내버스: 일반버스 요금 무료
- 마을버스 및 농어촌버스: 일부 노선 무료 또는 할인 적용
- TIP: 부산교통공사에서 어르신 전용 교통카드 발급 가능
🥣 3. 무료급식 및 도시락 배달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독거 어르신 운영기관: 각 구·군 노인복지관 및 사회복지관 서비스: 주 3~5회 무료 급식 또는 도시락 배달 신청처: 가까운 동주민센터 또는 복지관 방문
🏥 4. 건강검진 및 치매 조기검진
- 건강검진: 만 66세 이상 2년마다 무료 (기초 건강검사 + 치매 검사 포함)
- 치매안심센터: 각 구 보건소 내 설치, 인지 프로그램 운영
- 예약: 국민건강보험공단 또는 보건소 전화 문의
🎨 5. 부산 노인복지관 여가·교육 프로그램
운영 내용: 실버 요가, 스마트폰 교육, 그림, 서예, 건강교실 등 이용 대상: 부산 거주 만 60세 이상 비용: 대부분 무료 또는 1,000~5,000원 소액 수강료 신청: 해당 복지관 홈페이지 또는 방문 접수
🔎 대표 노인복지관 리스트
- 부산진구노인복지관 (☎ 051-808-1001)
- 사상구노인복지관 (☎ 051-317-0344)
- 해운대노인복지관 (☎ 051-784-4211)
- 영도구노인복지관 (☎ 051-405-2271)
📚 6. 시니어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 대상: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 활동 분야: 환경 정리, 보육보조, 공공시설 도우미 등
- 지원금: 월 최대 30만원(30시간 기준)
- 신청처: 노인일자리 담당 복지관 또는 시니어클럽
📌 활용 팁
- 혜택은 중복 신청 가능하므로 빠짐없이 확인
-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면 간단한 상담 가능
- 부산시 복지 포털에서 추가 정보 조회 가능
🧭 부산시 복지 정보 포털
바로가기: https://www.busan.go.kr/welfare
전화 상담: 051-120 (부산시 다이얼 정보)
✔ 마무리
부산에 거주하는 어르신이라면 정말 다양한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많습니다. 주변에 복지 혜택을 잘 모르고 계신 어르신이 있다면 꼭 함께 알려드리세요. 복지는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
※ 본 글은 2025년 3월 기준, 부산시청 및 보건복지부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